2024.06.21 (금)

  • 맑음속초 25.2℃
  • 구름조금동두천 30.1℃
  • 구름많음춘천 30.6℃
  • 맑음강릉 28.9℃
  • 구름조금동해 25.5℃
  • 구름조금서울 31.3℃
  • 구름조금인천 27.1℃
  • 구름많음청주 28.9℃
  • 구름많음대전 28.3℃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6.4℃
  • 구름많음광주 29.1℃
  • 구름많음부산 28.0℃
  • 구름많음제주 25.7℃
  • 구름많음서귀포 24.6℃
  • 구름조금양평 27.7℃
  • 구름많음이천 29.2℃
  • 구름많음제천 27.4℃
  • 구름많음천안 28.2℃
  • 구름많음보령 26.6℃
  • 구름많음부안 28.2℃
  • 구름많음강진군 26.1℃
  • 흐림경주시 27.5℃
  • 흐림거제 24.9℃
기상청 제공

공연/축제

피아니스트 '원아영 독주회', 깊은 감정의 서사 그려내

6월 30일 영산아트홀에서 독주회 열어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 곡으로 공감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해

문화저널코리아 김영일 기자 | 피아니스트 원아영이 오는 6월 30일, 영등포구 여의도에 소재하는 영산아트홀에서 독주회를 갖는다.

 

지난 2021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의 귀국 독주회 이후 다방면으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는 피아니스트 원아영은 이번 독주회에서 피아노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감정을 담아 관객들에게 그녀의 음악성을 표출하고자 한다.

 

1부에서는 고전음악에서 낭만으로의 문을 열어준 두 작곡가, 베토벤과 슈베르트 곡을 선택했다. 2부에서는 쇼팽의 전주곡 24개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표현을 구현해본다.

 

베토벤 소나타 작품 중 22번은 총 2개의 악장으로 되어있는 소규모 곡이지만 독자적 양식의 확립을 드러내고 있는 중기 작품으로 베토벤의 감정이 두드러지는 곡이다. 제1악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두 주제는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대조적 견해를 보인다.

 

우아하고 기품에 찬 멜로디와 당당하게 포효하는 듯한 멜로디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다가 마침내 하나로 융화된다. 중기로 접어들면서 가졌을 그의 열정과 반대로 피아노 소나타에 대한 회의감이 대립하는 듯하다. 피아니스트 원아영은 이 곡을 통해 본인 역시 겪고 있는 음악의 고뇌와 갈등을 풀어내어 관객들의 깊은 감정과 공감하는 무대를 꾸미고자 한다.

 

이어서 연주될 슈베르트 세 개의 소곡 D.946은 형식과 넓이에 있어서 슈베르트가 만들어낸 즉흥곡과 유사하다. 첫 곡에서는 슈베르트만의 독특한 트레몰란도(떠는 음)가 시선을 사로잡으며 마지막 곡으로 갈수록 풍성한 음향 효과를 주어 강렬한 리듬이 돋보인다. 생의 마지막 해에 작곡된 곡으로 그의 유작이 된 이 곡은 그가 가곡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자유로운 사상과 정신적 깊이가 더해져 아름다운 멜로디가 이어져간다.

 

2부에서는 쇼팽의 24 Preludes, Op.28을 프로그램으로 한다.

쇼팽은 연인이었던 조르주 상드와 그녀의 아이들과 함께 마요르카에 머무르는 동안 ‘전주곡’을 완성했다. 이전까지의 '전주곡'은 다른 작품이 연주되기 전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이었으나, 쇼팽은 이 형식 자체를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로 발전시켰다.

 

24개의 조성을 모두 사용하여 만들었다는 점에서 바흐의 평균율을 떠올리게 한다. 바흐의 절제와 균형을 이상적으로 여겨 끊임없이 연구했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24개의 각기 다른 이야기와 감정이 뚜렷하게 담겨 있으며, 쇼팽도 생전에 무척 아꼈던 작품들이라고 알려져 있다.

 

쇼팽의 장례식에서 4번 곡이 연주되기도 하였으며, 조르주 상드의 일화(비가 많이 오던 날 그녀의 귀가가 늦어지자 이를 걱정하며 쓴 것)덕에 ‘빗방울 전주곡’이라는 부제가 붙어 더 유명해진 곡이다.

 

피아니스트 원아영은 낭만주의 음악에 꽃을 피웠던 쇼팽의 작품으로 깊고 다양한 감성을 선보인다. 또한 그가 이루었던 새로운 시도를 본보기로 하여 연주자로서 안주하지 않고 다채로운 음악과 무대로 관객들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의지를 다진다.

 

주최사인 아투즈컴퍼니는 “피아니스트 원아영의 최대 강점인 부드러운 음색과 우아한 터치가 본 독주회에서 빛을 발할 것이다.”라고 전했으며 “그녀의 깊은 음악성이 관객들에게 위로가 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피아니스트 원아영은 예원학교와 서울예고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업을 이어나갔으며 이후 도독하여 뮌헨 국립음악대학교에서 석사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이수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위스 바젤 음악대학교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취득하여 연주력을 쌓았다.

 

또한 Geza Anda Competition, Epinal Competition, Viotti Piano Competition, Vienna Beethoven Competition 등 저명한 국제 콩쿨에 참여,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Teresa Llacuna-Ville de Valence 2위, Wiener Musikseminar Prof. Dichler Wettbewerb 2위, Eurogio Piano Award와 Osimo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특별상, American Music Talent Competition 3위 등을 입상한 바 있다.

 

현재 그녀는 단국대학교 초빙 교수, 부산대학교에 출강하며 후학양성에 열정을 쏟고 있으며 일랑콰르텟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원아영 피아노 독주회’ 티켓은 인터파크를 통해 예매 가능하며 문의는 아투즈컴퍼니(070-7757-0300)로 하면 된다.

 

Pianist 원아영 = 피아니스트 원아영은 예원학교와 서울예고 졸업 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에 입학하여 학업을 이어나갔다.

이후 도독하여 뮌헨국립음악대학교(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München) 석사과정을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동대학 최고연주자과정 (Meisterklasse) 이수와 동시에 스위스 바젤 음악대학교(Musikakademie Basel) 최고연주자과정 Spezialität Master Performance Solistin을 취득하였다.

독일과 스위스를 오가며 공부하는 동안 Geza Anda Competition, Epinal Competition, Viotti Piano Competition, Vienna Beethoven Competition 등의 저명한 국제콩쿨에 참여,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Teresa Llacuna-Ville de Valence 2위, Wiener Musikseminar Prof. Dichler Wettbewerb 2위, Eurogio Piano Award와 Osimo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에서 특별상, American Music Talent Competition 3위, Piazzolla Music Competition에서 앙상블 부문 Pablo Ziegler Award 등을 입상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소년한국일보 콩쿨, 한미 전국 음악콩쿨, 음악저널 콩쿨, 음연 콩쿨, 백스타인 삼익 콩쿨, 국제문화예술교육회 전국 음악콩쿨 등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하였다.

Euro Music Festival, Internationale Sommerakademie Mozarteum, Ticino

Musica Festival, Internationale Sommerakademie Ettal, Turku Music Festival masterclass, Wiener Musikseminar, Brescia music Festival, Haus Marteau Lichtenberg 등 다양한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하여 음악적 소양을 넓혀왔으며, 스위스 바젤 음악대학교 선정 장학생 독주회를 포함하여 프랑스 Valence, 스위스 Sils Maria, 독일 Geilenkirchen에서 초청 독주회를 가졌고, 독일 바이에른 주 Bad Reichenhall Philharmonie와 Chopin Concerto No.2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Adrian Oetiker 사사와 더불어 국내에서는 최희연, 김진선, 어수희, 이형민, 차명순을 사사했으며, 2021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의 귀국 독주회를 기점으로 2022년 금호아트홀 연세에서의 피아노 독주회, 2023년 일랑콰르텟 리사이틀 등 본인만의 개성이 담긴 음악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초빙 교수, 부산대학교에 출강하여 후학양성에 열정을 쏟고 있으며 일랑콰르텟 멤버로 실내악 연주에도 힘을 쏟고 있다.

배너

CJK 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