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성 한글展, 문자와 회화의 예술적 결합

  • 등록 2021.01.14 13:17:02
크게보기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1F 그랜드관 / 2021. 2. 3(수) ~ 2. 16(화)


금보성 한글展,

금보성 작가는 한글을 소재로 문자와 회화의 결합을 통해 절제된 색면과 대담한 구도로 추상적 아름다움으로 변화시켜 그만의 작품으로 표현하는 화가로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관장 허성미) 1F 그랜드관에서 2021년 2월 3일(수) ~ 2월 16일(화) 까지 2주간 만나볼 수 있다.[문화저널코리아]

금보성 작가의 마치 화면 위에서 춤추는 것 만 같은 색면의 독특한 구성력과 현대판 문자도 라고 볼 수 있는 자음과 모음의 예술적 결합에서 우리는 한글 문자의 근원적 순수함, 조형미, 문자와 디자인이 결합된 작품을 통해 조형적 가치와 함께, 경쾌한 에너지까지 느낄 수 있다.

 

금보성 작가의 작업은 2차원의 평면에 그치지 않고 조형과 디지털 영상을 통한 미디어 작업까지 확장해 3차원의 입체적 전환을 꿈꾸고 있다.

 

한글을 예술로 승화시킨 그의 치열한 노력과 실험정신을 통해 우리는 화면의 경계 없이 자유롭게 넘나드는 금보성 작가의 앞으로의 작업이 기대된다.

설레이는 봄을 앞둔 2월의 어느 날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는 금보성 작가의 한글로 구성된 기하학적 추상작품의 역동적인 공간 구성과 편안히 다가오는 색채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일상 속 활기와 경쾌한 에너지를 선물하고자 한다.

금보성 작가의 더욱 많은 작품은 문화·예술의 중심지 인사동에 위치한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34-1)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관람시간은 월-일(10:30-19:00) 연중무휴로 운영,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시를 쓰던 내게 한글은 매우 익숙한 소재였다.

그러나 시를 쓰는 것만으로는 한글의 소멸을 막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느꼈다.

그러던 중 자음과 모음의 형태에서 고유한 추상적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한글을 디자인적 서체, 예술적 서체, 손 글씨 등으로 변화시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있어 왔지만, 회화 자체의 소재로 사용하는 작가는 없었다.

한글 자체의 조형미를 그림으로 표현해 한글을 문화유산으로 남기고자 했다.”

 

- 금보성 작가노트 - 

김영일 news123@cjknews.com
< 저작권자 © 문화저널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허브 101동 309호 | TEL : 02-564-0034 | FAX : 02-557-8945 등록번호 : 서울아03363 | 등록일자 : 2014년10월10일 | 발행일자 : 2018년06월01일 발행인 : 조정일 | 편집인 : 김영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