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저널코리아 이상우 기자 | 7월 27일 춘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상임대표 권오덕)가 주최 및 주관하고, 사단법인 춘천영화제(이사장 박기복), 강원특별자치도 인권센터(센터장 송제성), 신사우동동징검다리협의체, 춘천시립도서관이 공동주최로 참여하는 ‘차근차근 상영전’은 무료로 6편의 영화를 상영하고 토크 프로그램 및 공연과 체험 이벤트가 이어지는 행사다.
‘차근차근 상영전’은 2년 전인 2022년 10월, 춘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제안으로 평창국제평화영화제와 함께 시작되었고, 2023년부터 춘천영화제와 함께 하게 되었다.
지속가능발전(SDGs)의 가치를 중심으로 영화제와 지자체의 기관과 NGO 단체가 결합해 기획한 대중적인 문화 축제인 ‘차근차근 상영전’은 점점 협업을 확장하고 있는데, 작년 2회 상영회 때 강원특별자치도 인권센터가, 올해는 신사우동동징검다리협의체와 춘천시립도서관이 합류하며 춘천을 대표하는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행사로 부상하고 있다.
상영작은 총 6편이다. 7월 27일(토) 11시엔 박재범 감독의 애니메이션 <엄마의 땅: 그리샤와 숲의 주인>이 상영된다. 한 땀 한 땀 공 들인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으로, 추운 지역을 배경으로 주인공 소녀 그리샤가 전설 속의 숲의 주인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다. 14시엔 정다운 감독의 다큐멘터리 <땅에 쓰는 시>가 상영된다.
아름다운 정원을 탄생시킨 조경가 정영선에 대한 작품으로 기후 환경과 도시 공동체 등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19시에 상영되는 조은성 감독의 <아주 오래된 미래도시>는 대한민국의 수많은 지역들이 직면한 ‘도시 재생’의 문제를 다룬다.
7월 28일(일) 11시엔 왕민철 감독의 다큐멘터리 <생츄어리>가 상영된다. 1회 차근차근 상영전 때 <동물, 원>으로 춘천을 찾았던 왕민철 감독은 그 연작인 <생츄어리>를 통해 다시 한번 동물권에 대해 이야기한다.
14시에 상영되는 임기웅 감독의 <문명의 끝에서>는 쓰레기 문제를 담은 다큐멘터리로 올해 서울국제환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17시엔 켄 로치 감독의 <나의 올드 오크>가 상영된다.
그의 은퇴작인 <나의 올드 오크>는 1967년에 데뷔해 57년 동안 그가 놓지 않았던 연대와 저항의 가치를 만날 수 있는 작품이다. 각 상영은 토크 프로그램과 함께 한다. <엄마의 땅: 그리샤와 숲의 주인>은 춘천영화제 함유선 프로그래머가 상영 전 작품 해설을 하며, <나의 올드 오크>는 춘천영화제 김형석 운영위원장이 상영 후 작품 해설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를 이어간다.
<땅에 쓰는 시>의 정다운 감독, <아주 오래된 미래도시>의 조은성 감독, <생츄어리>의 왕민철 감독, <문명의 끝에서>의 임기웅 감독은 춘천을 찾아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관객과 나누며, 모더레이터로는 춘천문화재단 도시문화센터 이나래 PD와 춘천영화제의 김형석 운영위원장과 함유선 프로그래머가 참여한다.
‘차근차근 상영전’에선 공연과 체험 이벤트도 진행된다. 7월27일엔 ‘호우호우 우산 수리 체험 부스’가 11시~13시30분, 15시~17시30분에 열린다. 16시40분~17시20분엔 ‘초코와 루시’의 공연이 있다.
피아니스트 손명남과 보컬 및 플루트를 맡은 심효원이 팀을 이룬 초코와 루시는, 비인간동물을 테마로 하는 뮤지션이다. ‘차근차근 상영전’은 춘천시립도서관에서 진행되며 무료 상영이다.
자세한 상영 일정 및 참석 방법은 춘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홈페이지(chuncheon21.org)에서 사전 신청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