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저널코리아 오형석 기자 | 롯데뮤지엄은 다니엘 아샴(Daniel Arsham)의 개인전 《서울 3024(Seoul 3024)》을 오는 7 월 12 일(금)부터 10 월 13 일(일)까지 개최한다.
시간성, 역사성, 공간성의 경계를 초월하는 작가 다니엘 아샴은 조각, 회화, 건축, 영화 등 장르를 넘나들며 활발히 작업하는 시각 예술가다. 1 천년 후의 미래인 3024 년의 서울을 소환한 이번 전시는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되어 시간을 초월하는 이질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현대 문명과 유적 발굴을 재해석한 ‘상상의 고고학(Fictional Archaeology)’이라는 작가만의 독창적인 개념에 기반한 작품 250 여점이 출품된다. 서울의 천 년 후 미래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번 전시는 SF 장르의 포스트 아포칼립스(Post-apocalypse) 세계관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어린 시절 마이애미에서 겪은 허리케인으로 폐허가 된 도시는 작가에게 인간의 무력함, 자연의 압도감, 문명의 덧없음을 느끼게 했다. 이때의 경험으로 초기작에는 자연과 인공, 시간의 경계가 사라진 형태의 조각과 회화가 자주 등장한다.
2010 년 다니엘 아샴은 남태평양 이스터 섬(Easter Island)을 방문해 유물 발굴 현장을 목격하고, 진실과 허구로 구성된 역사를 주제로 다양한 작업 세계를 보여준다. 이때 작가는 과거의 유물을 통해 현시점의 역사를 추적하는 고고학자에게 영감을 받아 ‘상상의 고고학’이라는 개념을 착안했다.
총 아홉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작가의 세계관 속 공존하는 여러 시대와 시간, 문화, 장르를 혼용하는 작품세계를 살펴본다. 루브르 박물관의 소장품을 재해석한 고대 조각상 부터 시대를 대변하는 대중문화 아이콘 포켓몬, 오브제 시리즈, 발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한 장소 특정형 작품 을 통해 다니엘 아샴의 20 여년간 점철된 세계관을 집약적으로 선보인다.
더불어 작가의 건축적 작품을 비롯한 초기작들과 제작한 영화, 세계적 브랜드와 가구, 패션, 건축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시각예술 영역의 확장을 보여준다.
특히 천년 후 서울을 주제로 한 대형 회화 2 점이 최초 공개된다. 서울 북한산을 배경으로 한 과 이 출품됐다. 대형 회화와 함께 다니엘 아샴의 대표작 이 펼쳐진다. 3024 년 폐허가 된 서울의 발굴 현장에서 핸드폰, 신발, 카메라와 같은 현대의 물건이 오래된 유물처럼 발굴된다.
다니엘 아샴이 창조한 세계 ‘상상의 고고학’은 오늘날 일상의 물건들이 미래에 유물로 발굴된 형태로 제시하며, 자신이 어느 시간 속에 머물고 있는지 모호하게 만든다.
허구와 현실이 뒤엉킨 이질적인 공간에서 관람객은 다양한 시간성을 상상하게 될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들며 시간을 초월한 세계에서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